자동차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이동 수단이지만, 자연재해나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. 침수차는 차량의 성능과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이를 잘못 판단하고 구매할 경우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. 침수차의 흔적을 확인하는 방법, 침수 후 대처 방법, 보험 보상 절차 등을 알아보며, 안전한 차량 구매와 관리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. 침수차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소중한 차량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침수차 구매 체크리스트
1. 차량 이력 확인
차량 이력 조회: 침수 이력, 사고 이력, 소유자 변경 내역을 확인합니다. (자동차 365 홈페이지: https://www.car365.go.kr/web/contents/floodedvehicle.do)
보험 이력: 보험금 청구 이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2. 기관 점검
도장 상태: 도장이 불균일하거나 색상이 다른 부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차량 하부: 하부에 이물질이나 녹이 있는지 체크합니다.
3. 내장 상태 점검
카펫 및 시트: 물기, 곰팡이, 악취를 확인합니다.
대시보드 및 계기판: 경고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합니다.
4. 전기 시스템 점검
전기 장치 작동 여부: 전조등, 와이퍼, 에어컨 등의 기능을 확인합니다.
배터리 상태: 배터리 단자에 부식이 있는지 체크합니다.
5. 엔진 및 기계적 상태 점검
엔진룸 점검: 엔진 내부에 물이 들어간 흔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오일 및 냉각수 상태: 오일이나 냉각수에 물이 섞여 있는지 살펴봅니다.
6. 냄새 체크
악취 확인: 내부에서 곰팡이, 썩은 냄새가 나는지 체크합니다.
7. 전문가 점검
정비소 방문: 차량 점검을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침수 흔적을 확인합니다.
자동차 침수 시 행동 지침
지하차도 진입 금지 : 폭우가 예상될 때는 지하차도 진입을 자제해야 합니다. 만약 이미 진입했다면 즉시 차량을 버리고 대피해야 합니다.
하천, 하상도로, 교량 통행금지 : 폭우 시 하천이나 하상도로는 물이 급격히 불어나 위험합니다. 교량 역시 붕괴될 위험이 있으므로 통행을 피해야 합니다.
빗물이 타이어 2/3 잠기기 전 대피 : 빗물이 타이어의 2/3 이상 잠기기 전에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 대피해야 합니다.
차량 내부에 갇혔을 경우 : 문이나 유리창이 수압으로 인해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, 망치 등을 이용하여 유리를 깨고 탈출해야 합니다.
침수된 자동차,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침수된 자동차는 엔진, 변속기 등 중요 부품에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따라서 함부로 운행해서 는 안 되며 ,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1. 보험사에 연락 : 자동차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즉시 보험사에 연락하여 상황을 알리고, 보험 처리 절차를 안내받아야 합니다.
2. 전문 정비소에 맡기기 : 침수된 차량은 반드시 전문 정비소에 맡겨 정밀 검사를 받고, 필요한 수리를 진행해야 합니다.
3. 침수 정도에 따른 처리 : 침수 정도에 따라 수리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경미한 침수라면 건조 및 소독 후 운행이 가능할 수 있지만, 심각한 침수라면 엔진 교체 등 대대적인 수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침수 차량 보상액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
1. 자차 보험 가입 여부 및 보장 범위 : 자기 차량 손해담보(자차담보 특약)에 가입되어 있고, 침수에 대한 보장이 포함되어 있어야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보장 범위에 따라 보상 가능한 금액이 달라집니다.
2. 침수 정도 : 침수 깊이, 침수 기간, 차량 내부 침수 여부 등 침수 정도에 따라 수리비가 달라지고, 따라서 보상액도 달라집니다.
3. 차량 가액 : 차량의 연식, 모델, 옵션 등에 따라 차량 가액이 결정되며, 이는 보상액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.
4. 수리 가능 여부 : 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수리비를 보상받고,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 가액을 기준으로 보상받습니다.
5. 보험사의 판단 : 보험사는 현장 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, 보험 약관에 따라 보상액을 결정합니다.
침수차 보상 절차
보험사 신고 : 침수 발생 후 즉시 보험사에 신고하여 현장 조사를 요청합니다.
현장 조사 : 보험사 담당자가 현장에 방문하여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사진 촬영 등을 진행합니다.
수리 또는 보상 : 수리 가능한 경우 보험사 지정 정비소에서 수리를 진행하고, 수리 불가능한 경우 차량 가액에 따라 보상받습니다.
'경제 자동차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-패스 가입 방법과 혜택 안내:알뜰교통카드 사용카드 그대로 가입 (6) | 2024.09.03 |
---|---|
자동차 공동명의 명의 이전 신청절차: 세금(취득세,자동차세)납부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8.16 |
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: 리튬 배터리 화재 원인 및 대처 방법 (0) | 2024.07.28 |
후면 단속 카메라 위치와 찍히는 거리, 위반시 과태료 부과 기준 (0) | 2024.07.19 |
자율주행 자동차, 장점과 단점 비교 분석! 자율주행 단계별 이해하기 (0) | 2024.07.15 |